본문 바로가기
천연생활

저온숙성(CP)비누 만들기 전 알아보기

by 오즈의다락방 2023. 2. 20.
반응형

1. 저온숙성(CP)비누란?

저온숙성비누(CP비누)는 기능성 비누를 만들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오일(지방산유지)와 알카리(가성소다)가 비누화 반응을 통해 만들어지는 비누로 순비누 성분과 보습효과를 주는 글리세린이 그대로 남아 피부 보호막을 상하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비누의 품질은 사용하는 베이스 오일에 따른 지방의 종류, 첨가되는 분말이나 허브, 에센셜오일, 보존제 등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저온숙성비누의 장점은 식물성 오일을 사용하여 비누를 만들고 보습 성분인 글리세린을 제거하지 않고 피부 타입별로 필요한 기능의 비누를 만들 수 있다는 점입니다.

화학 첨가물이나 방부제, 응고제가 들어가지 않아 피부를 건강하게 지켜줍니다.

 

보온이 끝난 후 비누화 반응이 일정 시간 서서히 진행될 수 있으며 사용하기 전까지 4주 정도 건조 기간을 거쳐 사용하게 됩니다.

 

2. 저온 숙성비누 만들기 재료

 

필수 재료 

1. 지방산 유지(베이스오일)

2. 가성소다

3. 물

4. 에센셜오일, 천연분말 등 첨가물

 

기본 도구

핫플레이트

고체 오일을 녹이거나 계량한 오일의 온도를 적정 온도로 데울때 필요한 도구입니다.

 

핸드블렌더

오일과 가성소다 수용액을 교반할 때 필요한 도구입니다.

 

전자저울

재료를 1g단위로 정확히 계량하기 위해 필요한 측정 도구입니다.

 

온도계

오일이나 가성소다 수용액의 온도를 측정하는 도구입니다.

 

스테인리스 비커

오일이나 정제수 등을 계량하고 직접 가열하는데 필요한 용기로 가성소다 수용약에도 부식되지 않고 안전하여 많이 사용합니다.

 

실리콘 주걱

오일이나 가성소다 수용액 등 원료를 섞거나 담을때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플라스틱 비커

교반 후 비누액 소분시 사용하는 용기입니다.

 

계량 스푼

분말을 덜어 내거나 조색시 필요한 도구입니다.

 

비누 몰드

완성된 비누액을 담을떄 사용하고 실리콘, 아크릴, 나무등 다양한 재질이 있습니다.

우유곽을 활용하여 만들 수 있습니다.

 

안전 장비

앞치마, 마스크, 아크릴 장갑, 팔 토시 등 가성소다 수용액을 다루거나 교반시 필요한 장비입니다.

 

기타

비누칼, 비누 대패, 비누도장, 고무망치, ph테스터등이 있습니다.

 

3. 저온숙성비누 만들기 기본 용어

 

베이스 오일

휘발되지 않는 성질이 있는 식물성 오일 또는 동물성 지방을 말하며 트리글리세라이드 구조의 지방산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베이스 오일에 따라 특징이 있으니 자신의 피부 타입이나 원하는 비누를 생각하고 구성하실 수 있습니다.

보통 1Kg의 비누를 만들 경우 750g ~ 800g의 베이스 오일을 사용합니다.

 

비누화

비누화 반응이란 동물성 지방이나 식물성 기름을 물이나 우유등 수산화나트륨을 녹인 액체를 혼합하여 반응시키며 일어나는 화학적인 반응을 말합니다. 알카리 용액은 트리클리세라이드를 지방산염(비누)과 글리세린으로 분해합니다.

 

비누화 값

오일 1g이 비누가 되기 위해 필요한 가성소다 또는 가성가리의 값을 말합니다.

오일마다 비누화값이 다르기 때문에 저온숙성 비누를 만들기 위해서 베이스 오일을 정하면 그에 따른 비누화값을 계산해서 가성소다나 가성가리의 양을 정해주셔야 합니다.

 

앱을 다운받아 쉽게 계산 할 수 있으니 활용해 보세요.

 

가성소다 수용액

가성소다를 녹인 물을 말합니다.

 

교반

베이스 오일과 가성소다 수용액을 섞어주는 것을 말합니다.

 

트레이스

트레이스는 자국, 흔적이란 뜻으로 오일과 가성소다 수용액이  유화되면서 크림스프 같은 점도가 생기는 상태를 말합니다.보통은 비누액을 흘려 보았을때 흘린 자국이 남게 되는 상태를 트레이스 상태로 간주합니다.

 

트레이스 정도에 따라 비누의 품질이 달라지기도 하며 기본 비누 만들때와 디자인 비누 만들때 트레이스를 조절하며 만들게 됩니다.

 

디스카운

오일이 비누화 되는데 필요한 가성소다의 양을 줄여서 넣는 것을 말합니다. 여분의 오일이 보습성분으로 남아 보습력이 높아지고 비누가 순해지는 장점이 있지만 오일이 쉽게 산폐되고 유효기간이 짧아 질 수 있으므로 피부타입이나 만들때 온도에 따라 가성소다값의 3~5%가 적당합니다.

 

슈퍼팻

비누화하지 않은 오일을 그대로 비누에 남기는 것을 말합니다.  보통 오일의 3~5%정도를 트레이스 단계에 첨가하게 됩니다.

 

 

반응형

댓글